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엔비디아 RTX vs AMD RX 성능 비교 (DLSS, 레이트레이싱)

by 배컴 2025. 7. 6.

엔비디아 RTX vs AMD RX 성능 비교 관련 사진

 

그래픽카드 시장의 양대 산맥인 엔비디아의 RTX 시리즈와 AMD의 RX 시리즈는 게이머와 콘텐츠 제작자들 사이에서 항상 비교 대상이 됩니다. 특히 DLSS, 레이트레이싱과 같은 고급 기능은 두 브랜드 간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성능, 가격, 기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두 그래픽카드를 심층 비교해보고, 어떤 용도와 환경에서 더 적합한 선택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DLSS 기술 비교

엔비디아의 DLSS(Deep Learning Super Sampling)는 AI 기반 업스케일링 기술로,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재구성하여 게임의 프레임 수를 높이면서도 고품질 이미지를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현재 DLSS는 3세대(DLSS 3)까지 출시되어 프레임 생성(Frame Generation)까지 포함하면서 성능 향상이 눈에 띄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DLSS는 RTX 20 시리즈부터 지원되며, RTX 30, 40 시리즈에서는 더욱 최적화되어 사용됩니다. 반면 AMD는 FidelityFX Super Resolution(FSR)이라는 기술을 통해 DLSS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FSR은 하드웨어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DLSS에 비해 AI 학습 기반의 업스케일링 품질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DLSS는 특히 NVIDIA의 전용 Tensor Core를 활용하기 때문에 게임의 선명도와 성능 유지 면에서 유리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게임 벤치마크 결과를 살펴보면, 동일한 그래픽 환경에서 DLSS를 적용한 RTX 4070은 비적용 시보다 최대 70% 가까운 성능 향상이 있었으며, AMD RX 7800 XT의 FSR 적용 결과는 40~50%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처럼 DLSS는 실제 게임 성능을 대폭 끌어올리는 기술로 RTX 그래픽카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레이트레이싱 성능 비교

레이트레이싱(Ray Tracing)은 광원, 반사, 그림자 효과를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기술로, 게임의 그래픽 퀄리티를 극적으로 향상시키는 핵심 요소입니다. 엔비디아는 RTX 20 시리즈부터 레이트레이싱 전용 RT 코어를 탑재하여 업계 최초로 실시간 레이트레이싱을 가능케 했습니다. 이후 RTX 30, 40 시리즈에서는 RT 코어 성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면서 더 많은 게임에서 고해상도 및 고프레임으로도 원활한 레이트레이싱이 가능해졌습니다. AMD도 RX 6000 시리즈부터 레이트레이싱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RX 7000 시리즈에 이르러서는 하드웨어 성능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인 성능에서는 여전히 NVIDIA가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예를 들어, ‘Cyberpunk 2077’과 같은 고사양 게임에서 RTX 4070 Ti는 레이트레이싱 + DLSS 3 활성화 상태에서 평균 90FPS를 유지하는 반면, AMD RX 7900 XT는 FSR 2.0 적용 시 70FPS 내외로 측정됩니다. 또한 엔비디아는 레이트레이싱 처리에 있어 더욱 정교한 쉐이딩과 그림자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DLSS와의 조합으로 성능 저하 없이 그래픽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반면 AMD는 동일한 환경에서 프레임이 다소 떨어지며, 특정 타이틀에서는 레이트레이싱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경향도 있습니다.

가격 대비 성능비와 구매 전략

그래픽카드 구매에 있어 가장 현실적인 기준은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입니다. 현재 RTX 4070의 평균 가격은 약 70~80만원 선, RX 7800 XT는 60만원 중후반대에서 형성되어 있습니다. 단순한 가격만 보면 AMD 제품이 저렴해 보이지만, 전반적인 기술 지원, 드라이버 안정성, AI 기능 등을 고려했을 때 NVIDIA의 제품이 더 많은 부가가치를 제공합니다. 또한 NVIDIA는 DLSS, CUDA, NVENC 등 게임 외 영상 편집 및 3D 작업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반면 AMD는 게임 위주의 활용에는 충분한 성능을 제공하나, 전문작업 환경에서는 다소 호환성 문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구매 전략으로는, 예산이 넉넉하고 다양한 작업(영상, 3D, AI 활용)을 고려한다면 RTX 계열을, 순수 게이밍 위주이며 비용을 절감하고 싶다면 RX 계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중고 그래픽카드 시장에서도 엔비디아 제품이 재판매가 높고 수요가 꾸준하다는 점도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됩니다.

엔비디아 RTX 시리즈는 DLSS와 레이트레이싱 등 고급 기능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다양한 작업 호환성과 성능 안정성 측면에서도 강점을 보입니다. 반면 AMD RX 시리즈는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해 게이밍 중심의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예산, 용도, 활용 범위를 고려해 현명한 선택을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