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청소기는 이제 가정 필수 가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다양한 브랜드에서 제품을 출시하고 있지만, 소비자의 사용 환경과 니즈에 따라 브랜드별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삼성, LG, 로보락, 에코백스 4개 대표 브랜드의 로봇청소기 특징과 장단점, 추천 금액대를 비교 정리해 드립니다.
삼성 로봇청소기 – 프리미엄 기능에 집중한 스마트 가전
삼성전자는 고급 AI 기술을 적극 활용한 프리미엄형 로봇청소기를 주력으로 내세웁니다. 대표 모델인 ‘제트 봇 AI’ 시리즈는 인공지능 기반 장애물 인식 기술, 고성능 LiDAR 센서, 자율주행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특히 AI가 사물(전선, 양말, 반려동물 배설물 등)을 스스로 인식하고 회피할 수 있어, 복잡한 가정에서도 안정적으로 청소를 수행합니다. 또한, 스마트싱스(SmartThings) 앱과 연동되어 외부에서도 청소 상태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하며, 스마트폰과 연동한 맵 기반 청소 예약 설정도 강력한 장점입니다. 흡입력도 2500Pa 이상으로 강력한 편이며, 먼지통 자동 비움 시스템도 일부 모델에 기본 적용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높습니다. 단점이라면 가격대가 높은 편이라는 점입니다. 삼성의 고급형 모델은 80만 원 이상, 고사양 AI 모델은 120만 원 이상이기도 하며, 초보자보다는 기술 친화적인 소비자에게 적합합니다.
LG 로봇청소기 – 정숙성과 고급 마감의 정통 브랜드
LG전자의 대표 모델은 ‘코드제로 R9’ 시리즈로, 정숙한 작동음과 정밀한 센서 제어, 그리고 고급스러운 외관이 특징입니다. 특히 소음 수준이 50~55dB로 비교적 조용하며, 청소 중에도 실내에서 대화나 TV 시청이 어렵지 않을 정도입니다. 3D 듀얼 카메라 센서를 활용하여 실내 구조를 입체적으로 인식하고, 효율적인 청소 경로를 구성합니다. LG만의 스마트인버터 모터는 내구성과 에너지 효율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앱 연동 기능은 삼성보다는 다소 단순하지만,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청소 구역 설정 및 예약 기능이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흡입력 또한 2200Pa 수준으로 평균 이상입니다. 단점은 제품군이 많지 않아 선택의 폭이 좁고, 자동 먼지 비움 기능은 지원되지 않는 모델이 대부분입니다. 가격은 중상급 제품이 90만 원대, 고급 모델은 110만 원 이상이며, 프리미엄 가전 선호 고객에게 적합합니다.
로보락 – 가성비와 기술력의 조화, 글로벌 인기 브랜드
샤오미 생태계에서 출발한 로보락은 이제 독자 브랜드로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로보락의 강점은 가성비 높은 스펙 구성입니다. 약 40~70만 원대 가격에서 흡입력 2500~4000Pa, LiDAR 기반 맵핑 시스템, 물걸레 기능, 자동비움 스테이션까지 지원하는 모델이 존재합니다. 대표 제품인 ‘S8’ 시리즈나 ‘Q7 Max+’ 등은 흡입 청소와 물걸레 청소를 동시에 수행하며, 스마트맵 기능으로 층별 구역 설정도 가능합니다. 특히 앱 연동이 매우 강력해 구역 청소, 금지 구역 설정, 가상 벽 지정 등이 자유롭습니다. 물걸레 기능도 초음파 진동 방식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며, 자동 비움 스테이션이 있는 모델은 사용자 개입 없이 장시간 유지 관리가 가능합니다. 단점은 국내 브랜드에 비해 A/S 네트워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일부 모델은 앱 번역이 다소 어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기술력 대비 가격 경쟁력이 매우 뛰어나 가성비 중심 소비자에게 적합합니다.
에코백스 – 물걸레 특화형으로 주목받는 다기능 브랜드
에코백스는 청소와 물걸레 기능을 동시에 강화한 제품군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대표 제품인 ‘디봇 X1 OMNI’ 시리즈는 흡입 청소, 자동 물보충, 걸레 세척 및 건조까지 전부 자동화된 점이 특징입니다. 특히 ‘OMNI 스테이션’ 기능은 먼지통 비움뿐 아니라 물걸레 관리까지 포함되어 있어, 청소 후 별도의 사용자가 개입할 필요가 거의 없습니다. 흡입력도 5000Pa 수준으로 매우 강력하며, 듀얼브러시, 3D 맵핑 시스템 등 고급 기능도 탑재되어 있습니다. 디자인 측면에서도 제이슨 우와의 콜라보 제품은 세련된 외관을 자랑하며, 고급 가전으로서의 포지션도 확고합니다. 앱 기능은 로보락만큼 세밀하진 않지만, 음성 비서 ‘YIKO’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독립형 시스템도 갖추고 있습니다. 단점은 제품 크기가 다소 크고, 초기 설치 및 공간 확보가 필요한 점입니다. 고급형 모델은 130만 원 이상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로봇청소기는 브랜드마다 추구하는 방향이 다릅니다. 삼성은 AI와 연동성, LG는 정숙성과 고급 소재, 로보락은 가성비와 기술력, 에코백스는 자동화와 물걸레 성능이 강점입니다. 소비자는 사용 환경과 예산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브랜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브랜드에 따라 애프터서비스, 앱 품질, 자동화 수준 등이 크게 달라지므로, 단순 가격 비교보다는 기능별 체크리스트로 접근해 보시기 바랍니다.